본문 바로가기
충청도 멋과 맛

아! 무령왕과 백제

by 하늘하늘하늘하늘 2017. 3. 20.
728x90

삼국시대 우리나라의 왕릉 중에 그 기록이 발굴되어

왕의 무덤임이 알려진 백제의 무령왕릉.

간악한 일제 침략기에도 무사히 그리고 우리나라의 혼을 팔아 먹는

도굴꾼들의 손길에도 벋어나 보존이 되었던 백제의 왕릉

무령왕릉과 무령왕을 찾아 봅니다.


아!  백제 그리고 무령왕


무녕왕은 삼국시대 신라의 왕으로 있었고 백제의 무령왕은

그 왕과는 다르다는 설명을 들었습니다.

혼돈하지 말라는 이야기겠지요...


백제   百濟

검이불루 儉而不陋  검소하나 누추하지 않고

화이불치  華而不侈 화려하나 사치스럽지 않다

백제의 중흥을 이룩한 왕  제 25대 무령왕



1971년 발굴 된 백제 무령왕릉을 돌아본다.

무령왕은 백제 25대 임금으로 웅진 천도 이후의 혼란을 종식 시키고

백제 중흥의 토대를 마련한 왕 이다.

송산리 고분군은 백제의 왕과 왕족의 무덤군이다. 모두 7기가 발굴 조사되었는데 

1~5분은 굴식돌방무덤으로 백제 전통의 고분양식을 갖추었고 6호분과 무령왕릉은 

아치형 천장의 벽돌무덤이다. 특히 무령왕릉은 고대 삼국의 최고 지배자 무덤 가운데

주인공과 축조연대를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무덤이다.


무령왕릉에서 발굴된 왕과 왕비의 관을 복원한 모습

좌측이 왕비의 관이고 우측이 왕의 관

왕의 묘지석/ 1971년 공주 무령왕릉에서 출토

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께서 나이가 62세 되는 계묘년(523년) 5월 7일에 돌아가셨다.

을사년(525년) 8월 12일에 안장하여 대묘에 올려 모시며 기록하기를 이와 같이 한다.

무령왕릉의 널길에서 발견된 '진묘수' 모습

진묘수는 후한대부터 나타나며 뿔과 날개가 달린 상상의 동물로 무덤을 지키고 죽은 사람의 영혼을

승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무령왕릉의 진묘수는 머리에 뿔이 있고 몸에는 날개가 달려 있으며 입과 몸통 일부에는

벽사의 의미로 붉게 칠해져 있다.

왕의 관 꾸미개 복재품  

왕의 머리 부분에서 2점이 발견되었다. 왕비의 관식보다 얇은 금판을 오려 내어 만들었고

왕비의 관식과 다르게 관식에 구멍을 뚫고 금실로 보요를 달아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왕의 귀걸이 진품 - 국보 156호

왕의 머리 부분에서 발견된 귀걸이로 중심 고리에 두 줄의 고리를 매달았고 고리는 끝에 심엽형 장식을

중심으로 작은 심엽형 장식 2개를 작은 고리는 끝에 누금기법으로 장식한 금모자를 씌운 곡옥을 연결하였디.

발굴 당시 왕 장신구 복제품

멀리 발받침부터 청동거울 용과 봉황의 장식칼, 허리띠 등이 출토 되었다

왕의 머리받침

왕비의 목걸이

국보 제158호 진품

왕비의 신발 복제품

왕비의 발 부분에서 발견된 것으로 왕비의 신발은 왕의 것과 다르게 안쪽과 바깥쪽 모두 금동판을 사용했다.

안쪽은 무늬가 없지만, 바깥쪽은 투조로 천상을 상징하는 육각무늬를 구획하고 그 안에 봉황 등을 장식했다.

바닥에는 단면 원형 스파이크를 부착했다.

왕비의 귀걸이 진품 - 국보 제 157호

왕비의 머리 부분에서 2쌍의 귀걸이가 발견되었다.  그 중 한쌍은 왕의 귀걸이와 같은 중심 고리에 두 줄의 고리를 단 형태이고

다른 한 쌍의 귀걸이는 중심 고리에 한 줄의 고리를 단 형태이다.


다리작(多利作) 글자를 새긴 용 장식 팔찌 - 국보 제160호

왕비의 왼손에 끼워져 있었던 팔찌로 모두 2점이 발견되었다. 팔찌는 두 마리 용을 돋을새김법으로

표현한 뒤 용의 비닐을 정으로 쪼아 입체감과 생동감을 더하였다.

은제연화무늬탁잔

왕비 머리 부분에서 발견되었다.  탁잔은 액체를 담는 용기로

청동 받침인 탁과 은제 잔, 은제 뚜껑으로 구성되어있다.

부여 능산리지에서 발굴된 백제 금동대향로에 표현된 내용과 비슷하다


백제 무령왕릉에서 발굴된 유물들은 백제의 문화를 보여준다. 

사실 백제 역사와 문화는 무령왕릉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1971년 무령왕릉의 발견은 실로 대단한 것이었다.

왕릉 자체가 갖는 가치뿐만 아니라 그 안에 부장되어 있던 4,600여점의 유물들 하나하나가

백제의 정신이자 세련된 백제문화의 진수 그 자체 였다.



  

728x90
반응형